2022. 9. 8. 10:04
경매 기본 용어 리스트 경매 & 공매/경매 기초지식2022. 9. 8. 10:04
반응형
▣ 반드시 숙지해야할 경매 기본 용어
No. | 용어 | 의미 | 비고 |
1 | 부동산 권리 | 부동산이 갖고 있는 채권, 지상권, 전세권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2 | 권리분석 | 경매에 나오는 물건이 어떤 권리관계를 갖고 있는지 분석하는 행위 | |
3 | 말소기준권리 | 물건을 낙찰 받았을 경우, 그 매물에 존재하던 권리가 소멸되는지, 아니면 그대로 남아 낙찰자가 인수하는가를 판단할수 있는 기준이 되는 권리 - 소멸되는 권리(4가지) : (근)저당권, (가)압류, 담보가등기, 강제경매개시결정등기 |
|
4 | 저당권 | 채권자(저당권자, 돈을 빌려주는 사람 또는 회사)와 채무자(저당권 설정자, 돈을 빌린사람 또는 회사)와의 계약에 의해 설정되고 그 설정, 변경, 소멸은 등기하지 않으면 제 3자에게 대항 할 수 없다. | |
5 | 근저당권 | 채무자가 채권자와의 채무 계약을 진행 할 때, 채권 최고 채무자 이외의 제 3자가 타인의 채무 때문에 스스로의 재산에 저당권을 설정할 수도 있는데, 이 제 3자를 "물상 보증 인" 이라고 부른다. | |
6 | (가)압류 | 국가 기관이 채권자의 신청을 받아 채무자의 특정 재산을 처분하거나 이에 대한 권리를 행사하지 못하도록 하는 일을 말함. | |
7 | 담보가등기 | 채권 담보의 목적으로 임시로 하는 등기로 채무자 소유의 부동산을 채무 변제의 담보로 삼기 위해 하는 행위 | |
8 | 경매개시결정 기입등기 | 경매를 시작하는 것을 의미 | |
9 | 임대인 | 집주인, 경매에서는 건물을 담보로 빚을 내거나 타인의 보증을 선 사람으로 채무자로 부른다. | |
10 | 임차인 | 전세 또는 월세로 임대인과 계약을 하여 집이나 건물을 사용하는 사람, 세입자와 같은 의미 | |
11 | 대항력 | 임차인이 자신이 세들어 있는 건물이 경매에 넘어가게 되면 이의를 제기 할 수 있는 권리로서, 임차인(전입신고)이 말소기준권리보다 선 순위이면 대항력이 발생한다. |
|
12 | 전세권 | 전세금을 지급하고 부동산을 계약기간동안 그 용도에 따라 사용, 수익할 후, 부동산을 반환하고 전세금을 반환 받을수 있는 권리 | |
13 | 전세권 설정 | 설정은 등기부 등본에 전세권 설정 접수일자를 기재하여 다른 순위의 채권자보다 우선권을 갖게 되는 순위로서 임차인을 보호 받도록 한다. 말소가 되지 않은 전세권은 대항력과 같은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실제 현실에서는 집주인이 잘 동의해주지 않음 |
|
14 | 소액 임차인 | 경매에 대해 대항력이 없어도 0순위로 보증금을 받을 수 있는 권리 단,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둘 다 받아야 하며, 지역 및 보증금에 따라 보상 금액은 다르다. |
|
15 | 명도 | 내가 낙찰 받은 집에서 세입자를 내보내는 과정을 말함. | |
16 | 임장 | 경매 물건의 현장 조사를 말함 |
반응형
'경매 & 공매 > 경매 기초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매의 종류 (0) | 2022.12.03 |
---|---|
경매관련 사이트 (1) | 2022.12.03 |
대법원 파산공매 물건 확인 방법 (0) | 2022.02.06 |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0) | 2022.01.27 |
법원별 관할구역 및 입점은행 (0) | 2021.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