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반응형

▣ 반드시 숙지해야할 경매 기본 용어

No. 용어 의미 비고
1 부동산 권리 부동산이 갖고 있는 채권, 지상권, 전세권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  
2 권리분석 경매에 나오는 물건이 어떤 권리관계를 갖고 있는지 분석하는 행위  
3 말소기준권리 물건을 낙찰 받았을 경우, 그 매물에 존재하던 권리가 소멸되는지, 아니면 그대로 남아 낙찰자가 인수하는가를 판단할수 있는 기준이 되는 권리
- 소멸되는 권리(4가지) : (근)저당권, (가)압류, 담보가등기, 강제경매개시결정등기 
 
4 저당권 채권자(저당권자, 돈을 빌려주는 사람 또는 회사)와 채무자(저당권 설정자, 돈을 빌린사람 또는 회사)와의 계약에 의해 설정되고 그 설정, 변경, 소멸은 등기하지 않으면 제 3자에게 대항 할 수 없다.  
5 근저당권 채무자가 채권자와의 채무 계약을 진행 할 때, 채권 최고 채무자 이외의 제 3자가 타인의 채무 때문에 스스로의 재산에 저당권을 설정할 수도 있는데, 이 제 3자를 "물상 보증 인" 이라고 부른다.  
6 (가)압류 국가 기관이 채권자의 신청을 받아 채무자의 특정 재산을 처분하거나 이에 대한 권리를 행사하지 못하도록 하는 일을 말함.  
7 담보가등기 채권 담보의 목적으로 임시로 하는 등기로 채무자 소유의 부동산을 채무 변제의 담보로 삼기 위해 하는 행위  
8 경매개시결정 기입등기 경매를 시작하는 것을 의미  
9 임대인 집주인, 경매에서는 건물을 담보로 빚을 내거나 타인의 보증을 선 사람으로 채무자로 부른다.  
10 임차인 전세 또는 월세로 임대인과 계약을 하여 집이나 건물을 사용하는 사람, 세입자와 같은 의미  
11 대항력 임차인이 자신이 세들어 있는 건물이 경매에 넘어가게 되면 이의를 제기 할 수 있는 권리로서, 임차인(전입신고)이 말소기준권리보다 선 순위이면 대항력이 발생한다.

 
12 전세권 전세금을 지급하고 부동산을 계약기간동안 그 용도에 따라 사용, 수익할 후, 부동산을 반환하고 전세금을 반환 받을수 있는 권리  
13 전세권 설정 설정은 등기부 등본에 전세권 설정 접수일자를 기재하여 다른 순위의 채권자보다 우선권을 갖게 되는 순위로서 임차인을 보호 받도록 한다.
말소가 되지 않은 전세권은 대항력과 같은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실제 현실에서는 집주인이 잘 동의해주지 않음
 
14 소액 임차인 경매에 대해 대항력이 없어도 0순위로 보증금을 받을 수 있는 권리
단,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둘 다 받아야 하며, 지역 및 보증금에 따라 보상 금액은 다르다.
 
15 명도 내가 낙찰 받은 집에서 세입자를 내보내는 과정을 말함.  
16 임장 경매 물건의 현장 조사를 말함  
반응형

'경매 & 공매 > 경매 기초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매의 종류  (0) 2022.12.03
경매관련 사이트  (1) 2022.12.03
대법원 파산공매 물건 확인 방법  (0) 2022.02.06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0) 2022.01.27
법원별 관할구역 및 입점은행  (0) 2021.12.12
:
Posted by ROSSI